밭농사는 높은 소득을 올리기 때문에 '직불제'를 시행할 필요가 없다고라
?

얼마전 전북도의회에서 제정된 농업소득보전 지원조례에 따르면 전라북도는 논과 밭에 대한 직불제를 전면적으로 시행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전면적인 밭직불제 시행' 이것은 당선된 이후 예산부족을 이유로 슬그머니 내다버린 김완주 지사의 선거공약이었다.
그랬던 그들이 이제는 "밭농사는 논에 비해 고소득을 올리고 있기 때문에 직불제를 시행할 이유가 없다"고 말하고 있다.
하여 전북도연맹은 밭직불제 시행근거와 구체적 시행방안, 예산확보 방안 등을 올 도연맹 심포지엄의 주제로 삼기로 하였다. 
이를 위해 도내 주요 밭작물 생산에 종사하는 농민들을 직접 만나 밭농사의 실태를 파악하고 밭직불제 시행방안에 대한 농민들의 의견을 청취하고자 현장 순회 간담회를 조직하였다.
고창 복분자 작목반, 정읍 콩, 보리 작목반, 순창 고추작목반, 완주 이서 배 영농조합, 진안 인삼농가, 장수 사과영농법인, 무주 고랭지 채소작목반..

간담회는 먼저 작목반의 개황과 해당 작목의 경작현황을 파악한 후 생산 농민들과 함께 직접 생산비를 산출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농민들은 대부분 고개를 내두른다.
그렇게 일일이 생산비를 계산해가며 농사지었다면 진즉 농사 포기하고 말았을 것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이를 곧이곳대로 받아들여 우리 농민들이 계획성 없는 무개념 농사를 짓는 것으로 오해해서는 안된다.
농민들은 자신이 짓는 농사의 생산단가를 누구보다 잘 알고 있으며 밑지지 않기 위해 최소한 얼마에 팔아야 하는지 환하게 꿰고 있다. 
다만 생산비가 보장되는 농사를 짓는다는 것이 하늘의 별을 따는것만큼이나 어려워져버린 조건에서 차라리 무시하고 잊고 싶은 것이다.
고창 복분자, 장수 사과, 진안 인삼..
듣기만 하여도 배부를 듯한 농사들이 자기 인건비나마 건질 수 있다면 잘 지은 농사가 된지 오래라는 것이다.
농민들은 이야기한다. 
치솟는 인건비, 비료값 상승.. 생산단가를 천정부지로 오르는데 가격은 몇년째 심지어 수십년간 제자리 걸음이라고.. 
그나마 폭락하지 않으면 다행이라고. 
이것이 일시적인, 특이한 현상이 아니라 구조적인 것이기에 정부의 특단의 대책이 나오지 않는 한 이런 현상은 지속될 것이며 도를 더해갈 것이라 입을 모은다. 
추석 무렵 "물가를 잡아야 한다"는 대통령의 말 한마디에 3~4만원 하던 과일 경락가가 하루아침에 7~8천원으로 폭락해버린 기막히면서 불가사의했던 경험, 막 시작된 벼 수확기에 정부비축미를 대량으로 방출하여 쌀값을 끌어내린 정부는 이명박이가 처음이었다는 사실을 이야기한다. 

책상머리에서 통계수치나 조작해내며 자기들 입맛대로 허무맹랑한 말들을 쏟아내는 공무원들은 그래도 돈버는 사람이 있지 않느냐고 반문할지도 모르겠다.
물론 있다. 개중에 운수가 대통한 농민도 있을 수 있고 유통과정에 빌붙어서 막대한 자산을 축적한 정운천이같은 사람도 있을 수 있다.
그러나 공부 열심히 한다고 모두 다 서울대 갈 수 없듯 모든 농민이 그러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또 그렇게 되는 것이 정상적인 농업의 발전방향일 수도 없다.
그 공무원들 열심히 노력하면 대통령도 되고 국회의원도 될 수 있는데 하다못해 장관이라도 해먹지 왜 말단에서 그러고 있는걸까?

'니들이 말하는 수지맞는 농사가 하나나 있나 찾아보자' 하는 심정으로 시작한 간담회가 회를 거듭하면서 아 정말 이렇게도 캄캄한 절벽인가 하는 막막함으로 바뀌었다.
도데체 우리 농민들은 무슨 힘으로 농사를 계속 짓고 있는걸까 하는 의구심마저 든다.
한해 농사 몽땅 털어 빚정리하는데 쏟아부어야, 그러고도 모자라 빚더미를 부풀려야 도산 위기를 넘어 그나마 내년 농사라도 기약할 수 있는 것이 대다수 농민들이 처한 현실이다. 
그리고 고민한다.
내년에는 무슨 농사를 지어야 하나?
내년 농사는 올해보다 좀 나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