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농정신문(http://www.ikpnews.net)




목표가격 4천원 인상발표 농식품부 규탄한다.

 

식량자급을 위한 백년대계기초농산물 국가수매제 실시하라!

 

 

쌀 목표가격이 여론의 도마에 올랐다.

목표가격을 4천원 인상한다는 농식품부 발표에 따른 것이다.

쌀 목표가격이란 무엇인가?

쌀 목표가격 제도는 2005년 추곡 수매제가 폐지되고 공공 비축제로 전환되면서 도입됐다.

당시 쌀과 관련한 농정 목표는 국내산 쌀 가격을 국제가격 수준으로 하락시키는 것이었다.

이는 쌀 산업 국제경쟁력 확보라는 미명 아래 추진됐다.

이에 따른 쌀값 하락 대책으로 고안된 것이 목표가격’, 이른바 쌀농가 소득보전 방안이다.

그런데 이 목표가격은 국내 시장가격의 3년간 평균치에 불과한 것으로 이름에 걸맞지 않는 치명적 결함을 안고 있다.

아무리 땅 파서 농사짓는 농민이라지만 생산비’ ‘물가상승률’ 등에 대한 아무런 고려 없이 시장가격만을 기준으로 소득을 보전하겠다는 것은 말장난에 불과하게 된다.

이처럼 쌀값의 하향조정을 전제로 도입된 공공비축제와 목표가격변동직불금 제도는 그 자체로 크나큰 한계와 모순을 지니고 있다.

2005년 이후 쌀 재배면적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매년 2~3만 농가가 쌀농사를 포기하고 있다실질소득 감소에 따른 적자영농을 지속할 수 없는 까닭이다.

이에 따라 국내 쌀 산업 기반이 붕괴되고 있다는 경고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조건에서 3년 주기로 갱신하도록 되어 있던 목표가격을 한차례 동결하고 법 개정을 통해 5년 주기로 늘리는 등 혼선을 빚어왔다.

큰 폭의 목표가격 인하가 불가피한 조건에서 정치논리가 작동한 결과였으며현재 목표가격 인상을 골자로 하는 관련 법률(쌀 소득 등의 보전에 관한 법률개정안이 6건이나 국회에 계류 중에 있는 실정이다.

 

농식품부의 4천원 인상 발표를 어찌 볼 것인가?

 

목표가격 인상을 골자로 하는 법 개정안이 제출되고 이에 대한 농민들의 요구가 빗발치는 데도 불구하고 농식품부는 제도 자체가 지닌 한계와 모순점에 대한 개선 노력은커녕 법 개정 자체를 반대하고 있다.

이에 더하여 국가 재정부담을 내세워 4천원이라는 터무니없는 잔돈푼으로 농민을 능멸하고 여론을 호도하고 있다.

농업농민에 대한 모독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현장 농민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 소통하고자 하는 손톱만큼의 성의만 지녔더라도 감히 이런 발표를 할 수는 없다.

일면 소통’ ‘공감을 내세우면서 다른 한쪽에서는 빗발치는 농민의 요구를 무시능멸하고 일방통행하는 태도는 최근 농식품부가 주도하여 운영중인 <국민공감농정위원회>에 대한 심각한 회의를 불러일으킨다.

<국민공감농정위원회>는 겉치레뿐인 한갓 장식품에 불과한 것이다.

 

쌀 문제에 대한 근본 해법을 모색할 때다.

 

정부 양곡정책과 쌀 수급정책의 근본적 전환이 필요하다.

온 나라 국민의 주식인 쌀은 정부가 직접 책임지고 관리하여야 한다.

식량자급률 목표치를 설정하여 자급계획을 철저히 세워야 한다.

시장가격에 근거한 쌀 목표가격과 유명무실해진 공공비축제를 폐지하고 국가수매제를 되살려 농민에게 가격결정권을 부여해야 한다.

국회에 계류중인 21만원쌀전업농의 23만원 목표가격 인상 요구안이 실제 수매가로 보장되어야 쌀 농가의 생존을 보장하고 무너진 쌀 산업을 일으켜 세울 수 있다.

이중곡가제 도입으로 안정된 쌀값을 유지하여 서민생계를 보호하여야 한다.

논농업직불제는 고정직불금으로 일원화하여 증액하고 목표가격과 연동된 변동직불금은 폐지되어야 한다.

국가 책임 하의 백년대계전민족적 차원의 식량자급 실현을 위한 큰 설계가 절실한 시점이다.

 

전국농민회총연맹은 온 나라 국민의 주식인 쌀을 출발점으로 하여 주요 곡물과 채소과일축산물에 이르기까지 우리 농업과 전 국민의 식생활을 담보하는 기초농산물의 생산과 유통가격 전반에 대하여 국가가 직접 책임지고 관리하는 기초농산물 국가수매제가 하루 빨리 시행되어야 함을 강력히 촉구하는 바이다.

 

 

2013년 5월 16

전국농민회총연맹 의장 이광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