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쁘고 귀한 하늘소가 있다고, 그걸 봐야 한다고, 10년도 더 묵은 오랜 숙원이라고.. 강원도 심심산골에 산작약이 꽃을 피우면 그 꽃에 날아든다고.. 이름하여 '고운산하늘소'. 하여 길을 나섰네. 머나먼 길이었네.
산작약만 찾으면 되는 줄 알았다. 늘 가는 정선 귤암리에 짐을 부리고 찾아간 태백산 두문동재, 산작약은 아직 일러 피지 않았다. 돌아와 귤암리 숙소 주변, 여기라면 있겠다 하고 들어간 숲 속에서 숫제 작약밭을 찾아냈다. 한 송이, 두 송이, 세 송이, 네 송이.. 시기도 잘 맞았다. 되얐다 싶었다. 그러나 정작 고운산은 보이지 않았다. 네 시간을 산에 머물며 기다렸지만 끝내 오지 않았다. 게발딱주에, 우산나물에, 산나물만 한 보따리..
정선 2023.05.02 산작약
같이 간 애벌레 선생, 강원남도에는 없는 것으로 결론을 내렸다. 아깝다, 고운산으로 하늘소의 세계에 화려하게 들어가 볼까 했는데.. 꿩 대신 닭, 넉점각시하늘소로 대신한다. 하늘소 하면 어릴 적 늘 보고 자랐던 그야말로 '하늘소', 커다란 녀석이 떠오르는데 이렇게 작은 녀석도 하늘소라니.. 작은 개미보다 크고 큰 개미보다 작다.
2023.05.02 넉점각시하늘소2023.05.02 넉점각시하늘소
넉점각시하늘소 성충은 4월 말부터 나타나며 높은 산지에서는 7월까지 활동한다. 산지의 각종 꽃에 날아와 꿀과 꽃가루를 먹으며 짝짓기 한다. 유충의 생태는 밝혀지지 않았다. 남한 전역에 분포한다. - 한국의 하늘소(황상환)
2023.05.02 넉점각시하늘소2023.05.02 넉점각시하늘소
이로써 330여 종에 달한다는 우리나라 하늘소 업계에 발을 들인다. 살다 보면 다 볼 날이 올 수도 있지 않을까 생각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