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상돈의 4.3순례, 애기동백꽃의 노래

최상돈, 그를 처음 만난 것은 이덕구 산전에서였다.
가수라는데 영 그리 보이지 않았다.
영락없는 싸움꾼, 그것도 단도직입을 일삼는..
하여 그에 대한 첫인상은,
"쩌 냥반 진짜 가수 맞어?"
헌데 처음 만난 그 자리에서 청해 들었던 노래, 이덕구 사령관과 그의 동지들, 한라산 빨치산들이 이별하는 장면을 그렸다는 그 노래가..
"돌아서다가 돌아보았네~" "살아 만나자 약속하였네~" 하는 대목에 이르게 되면 생사의 고비를 함께 넘나들던 빨치산들의 그 이별 장면이 너무나 선명히 떠올라 절로 숙연해지곤 했던 것이다.
그 노래를 듣고 또 들어 골백 번쯤 들어 흥얼거릴 수 있게 되었을 때 나는 가수 최상돈에 대해 좀 더 알게 되었다.
더불어 '산오락회'도 알게 되었으니 이 노래로 하여 예기치 않은 새로운 인연들이 맺어지기도 했다.
최상돈, 그는 제주 사람이다.
시인이며 가수이자 싸움꾼인 그의 노래 한 곡 한 곡 한 구절 한 구절 켜켜이 쌓인 사연들,
그의 노래에는 굽이치는 역사가 있고 심장을 움켜쥐는 힘이 있다.
그런 그가 책을 냈다.
1년 열두 달, 순례자들과 함께 걸었던 길, 그 길에 스민 제주도민들의 수난과 항쟁의 역사, 그 길 위에서 불렀던 노래들..
제주도를 넘어 조선 팔도로, 일본 열도로 이어지는 그의 순례길, 그 길은 4.3 '死.삶'.
긴말하면 잔소리겠고 다들 읽어보셔야 되겠는데 워낙 소량을 인쇄한 탓에 이 책을 시중에서 구하기는 쉽지 않을 수도 있겠다.
허나 공을 들인다면 구하지 못할 것도 없을 터, 어렵게 구한 책이 더 값질 수도 있을 것이니..
4.3의 진실에 관심을 기울이시는 분이라면 꼭 읽어보시라 권하고 싶다.
요사이 날이면 날마다 듣고 또 듣는 노래가 있으니 "4.3 역사로 헤어진 사람들이 돌아오지 못하는 이야기", 이어도 연유(緣由)
바다를 뒤로 한 곳에 주정공장 굴뚝이 상상으로 보이고 그 위로 사람들이 창고에 갇혀 있습니다. 그곳이 마지막 이승이었습니다. 바다를 가다 수장학살되어 대마도에 떠오른 원혼. 전국 형무소로 끌려가 어느 형무소에서 삶을 마감한 지도 불분명한 영혼. 이념에 갇혀 타국 타향에서 삶을 마친 영혼. 그리고 정뜨르비행장 등 제주섬에서 삶을 마친 영혼. 그래서 노래는 '차라리'입니다.
'책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농민가락 차차차 (0) | 2021.08.05 |
---|---|
일제 강점기 전주, 친일반민족행위자 5인의 기록 (0) | 2021.01.08 |
비전향 장기수 임방규 선생님 (0) | 2020.01.15 |
시인 김남주와 전봉준 정신 (0) | 2019.10.22 |
전봉준 평전「봉준이, 온다」 (0) | 2019.09.21 |
댓글
이 글 공유하기
다른 글
-
농민가락 차차차
농민가락 차차차
2021.08.05이 노래들을 통해서 농민들이 희망과 기쁨을 얻고, 농촌사회가 인간다움을 회복하며, 정의와 통일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라면서, 농민뿐만 아니라 많은 이들에게도 불려지기를 기원하는 바입니다. - 한국기독교농민회총연합회 회장 배종열 1985년 농어촌 연구부, 이 책을 끼리고 살았다. 틈 날 때마다 늘 뒤적거리며 노래를 불렀다. 내가 노래를 배우는 방식은 오로지 반복, 부르고 또 부르고… 그러다 보면 똑같이 부르게 된다. 노총각 타령 일자리도 인정도 없는 도시엔 뭘 하러 가나 이내 몸은 노총각 신세 일만 한단다 금순아 갈 테면 가라 삼돌이도 갈 테면 가라 개간지 비탈에서 나만 홀로 괭이질한다 논도 밭도 없는 놈이 농사는 무얼로 짓나 이내 몸은 소작농 신세 일만 한단다 금순아 갈 테면 가라 삼돌이도 갈 테면 가… -
일제 강점기 전주, 친일반민족행위자 5인의 기록
일제 강점기 전주, 친일반민족행위자 5인의 기록
2021.01.08이두황, 박기순, 박영철, 백남신, 백인기 전주 출신 혹은 전주를 주무대로 활동했던 친일 반민족 행위자 다섯 놈. 귀하는 이 중에 알만한 자가 몇이나 되는가? 나는 이두황, 이 자만 알 뿐 나머지는 처음 들어보는 생소한 작자들이다. 놈들은 역사의 단죄를 받았을까? 아님 최소한 죗값이라도 치렀을까? 이 자들의 후손들은 지금 어찌 살고 있을까? 날조와 왜곡, 은폐와 조작으로 덧칠된 놈들의 행적, 화려한 변신, 부와 권력의 승계… 대다수 친일 반민족 행위자들은 그렇게 살아남았고 그 후예들은 오늘날 우리와 함께 동시대를 살고 있을 터, 여전히 베일에 가려진 놈들의 전모를 알지 못한 채 우리는 여전히 놈들의 발아래에서 굴욕적인 삶을 살아가고 있는 것은 아닌지… 철저히 검증하고 파헤쳐 단죄하고 청산해야 한다. … -
비전향 장기수 임방규 선생님
비전향 장기수 임방규 선생님
2020.01.1515척 담 안에 또 가시철망으로 둘러친 감옥 안의 감옥 이가사에서, 총살당한 동지들과의 약속을 이행하기 위하여 펜을 들었다. 이 책은 총살당한 동지들과 죽음을 앞에 두고 주고받은 이야기, 처절했던 삶, 그리고 사형수였던 나의 회상으로 되어 있다. '글을 못 남기면 어떻게 하나…' 걱정하면서 날마다 머릿속에 글을 썼다. 글을 쓰면서, 영웅적으로 싸우다가 돌아가신 동지들에게 부끄럽지 않도록 생을 마치리라 몇 번이고 다짐했다. 내 가슴속에 나와 함께 있는 동지들, 삼가 총살당한 동지들의 명복을 빈다. (작가 서문 발췌) 책을 덮는 순간 " 아~ 나는 얼마나 막 살아왔단 말인가…", 한숨이 나왔다. 책에 써놓으신 선생님의 말씀을 상기하면서 정신을 수습했다. 사람의 육체적인 성장은 이십 대에 멎지만 정신사상적… -
시인 김남주와 전봉준 정신
시인 김남주와 전봉준 정신
2019.10.221972년 10월 17일 박정희가 유신 쿠데타를 일으켰다. 비상 계엄령을 선포하고 국회를 해산했다. 전국의 모든 대학에는 휴교령이 내려졌다. 해남에 내려가 있던 김남주 시인은 그 이튿날 광주로 올라와 친구이자 동지인 이강과 함께 박정희의 폭거에 반대하는 유인물을 만들어 살포하기로 합의했다. 김남주 시인과 이강은 거사를 앞두고 전봉준 유적지(황토현 일대)를 답사하며 결의를 다졌다. - 가을걷이가 끝난 초겨울 들녘 - 황토현과 백산에 올라 창의문을 소리 높여 낭송하고 생가(단소) 방문 - (비문을 손으로 쓸어보고 물끄러미 들과 하늘을 바라보며 한숨짓는) 흰 옷에 갓을 쓴 노인들 목격 - 훗날 이 날의 심경을 형상한 시, (죽창가)를 남겼다. 이들은 이후 지 사건으로 체포, 구속되어 10개월여의 옥고를 치른다…
댓글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