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나비, 풀, 꽃
솔부엉이 2022.04.24
솔부엉이 2022.04.24
2022.04.27솔부엉이가 왔다. 작년에 봤던 녀석인지 처음 보는 녀석인지는 알 수 없다. 다 똑같이 생겼으니.. 뿐더러 이렇게 마주하는 일이 썩 유쾌한 일도 아닐 터, 조용히 쉬고 있을 녀석 불러냈으니 나는 침입자인 셈이다. 하물며 낮이 아닌가? 행여 직박구리, 까치 눈에라도 띄게 될 양이면 몹시도 귀찮게 되는 것이다. 그래도 한 번은 보자. 1년에 한 번인데, 너무 인상 쓰지 말고.. 다시 불러내지 않으마. 우리 내년에 다시 만날까? 그럴 수 있을까? 그러길 바래..
새들의 시선
새들의 시선
2022.04.23흰물떼새, 아련한 녀석들.. 어디를 보고 있을까? 하늘의 적정을 살피는 흰물떼새의 눈을 보라. 이들의 아련한 시선은 실상 천적의 동태를 살피는 것일 게다, 대부분.. 세상에 천적이라고는 사람 말고는 없는 배부른 사람의 눈이 그저 그렇게 보는 것일 뿐.. 그래도 나는 새들의 시선이 좋다. 아련하고 때로는 퀭한..
북상하는 도요물떼새
북상하는 도요물떼새
2022.04.20집에서 30분, 갯등에 다시 들어간다. 어제가 사리, 정작 물이 가장 높은 때를 놓쳤다. 그래도 그제보다는 물이 많이 들어왔다. 민물도요들이 몰려다니며 군무를 펼치고 있다. 가장 먼저 나를 발견한 것은 흰물떼새, 여긴 또 뭘 하러 왔냐고 불편하게 바라본다. 마땅치 않은 게지.. 하지만 이내 제 볼 일을 본다. 나도 내 볼 일을 본다. 부리 길이가 어중간하여 한참을 들여다보았으나 역시 중부리도요, 머리 중앙의 흰 선이 결정적 증거 되겠다. 좀 접근하려 하니 거리를 주지 않고 날아가 버린다. 비싸게 구네.. 민물도요들이 은빛 찬란한 집단 군무를 펼친다. 나는 집단이 좋아.. 민물도요 무리 속에 세가락도요가 간간이 섞여 있다. 세가락도요들은 물과 뻘의 경계지점에서 활발한 먹이활동을 벌인다. 깔끔한 녀석들.. ..
D500 + 500mm 5.6 pf 탐조
D500 + 500mm 5.6 pf 탐조
2022.04.17만돌 갯벌 갯등에 들어간다. 바람이 몹시 불었다. 내일이 사리, 생각보다 물이 높지 않네.. 오랜만에 왔는데, 너무 이르게 왔나? 갯등이 한산하다. 이것들이.. 좋을 때다. 거~ 같은 물떼새끼리.. 한 번 붙어볼텨? 야, 니가 참어.. 두고 온 짝이라도 있으신가.. 서쪽 바다 저 멀리.. 아~나.. 갯등에서 나와 염전 주변 갈대밭을 지난다. 누가 봐요.. 모른찌키 혀~ 개개비사촌 영역에 들어간다. 소리로 불러내니 이윽고 한 녀석이 빼꼼 고개를 내밀고 반응한다. 불렀소? 불렀냐고~ 너 말고 개개비.. ㅋㅋ 이 씨.. 나 이 씨 맞는데.. ㅎㅎ 아~ 짱 나.. 그 이후로 녀석은 절대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따로 또 같이..
남바람꽃
남바람꽃
2022.04.15스치우듯 봄이 지나간다. 세월이라는 것이 이토록 빠르게 흐르는 것이었더란 말인가? 삭막했던 교정에 연둣빛 새싹이 돋고 온갖 꽃들이 피고 질 때면 하염없이 창밖을 바라보던 학동 시절의 나른한 봄날, 그 더디게 흐르던 시간은 어디로 가버렸나? 연둣빛 산천이 초록 초록해지는가 싶으면 어느새 울긋불긋해지는 것이다. 백설이 만건곤하던 기나긴 겨울은 또 어디로 사라져 버린 것일까? 봄날이 간다, 쏘아놓은 화살처럼.. 온갖 꽃들이 앞다퉈 피고 지는 봄이면 나는 으레 봄바람이 드는 것이다. 먼 길 가고 싶고, 가서는 다시 오지 않는 꿈을 꾸며.. 바람꽃은 바람처럼 피고 진다. 애써 기억하고 힘들여 찾지 않으면 볼 수 없는 바람꽃, 회문산 남바람꽃을 찾아간다. 남방바람꽃이 남바람꽃으로 개명된 사연을 알지 못한다. 그저 ..
봄나들이
봄나들이
2022.03.26겉에서 보기에 숲은 아직 삭막하다. 구름 할라 잔뜩 드리우고 스산한 바람 일렁이니 봄이 오기는 온 것인가 의심이 일기도 한다. 그러다 숲 가장자리 진달래라도 만난다 치면 우리는 화들짝 놀라게 되는 것이다. 자칫 언제 왔었나 싶게 지나가버리기 일쑤, 봄은 쏜살같다. 옷깃 여미고 망설이는 그대여, 늦기 전에 떠날 궁리를 하시라. 길가엔 진달래 몇 뿌리 꽃 펴 있고, 바위 모서리엔 이름 모를 나비 하나 머물고 있었어요. ...... 기다림에 지친 사람들은 산으로 갔어요 뼛섬은 썩어 꽃죽 널리도록. ...... 산중 곳곳 숯을 구웠던 흔적, 숯만 구웠을까? 기다림에 지쳐 산으로 간 사람들 머물렀을 그런 자리.. 이 뭐지? 소싯적 보물찾기 한 번 성공하지 못하던 내가 이 산중 길 가상도 아무데도 아닌 이 바위 ..
만주바람꽃
만주바람꽃
2022.03.19장성에 갔다가 발길이 닿았다. 올해는 때를 잘 맞촸네. 하려던 일을 내일로 미룬 탓에, 그 후로 매일 비가 내리는 탓에 큰 낭패를 보고 있지만 보던 중 가장 싱싱한 녀석들을 만났으니 그걸로 위안 삼는다. 내 살면서 야들을 몇 번이나 더 보겄냐고.. 개화시기가 짧아 바람꽃이라 한다는데 야는 거기다 대고 꽃말조차 '덧없는 사랑'이라네. 애당초 사랑이라는 게 거진 덧없을뿐더러 스치는 바람 같은 것일진대 구태여 '덧없는 사랑'이라 강조하다니 좀 가혹하지 않은가? 꽃말이라는 것도 실상 사람들 말놀음일 따름인 것이다. 뒤늦게 피어난 꿩의바람꽃, 시커먼 애벌레 한 마리 마치 업보처럼 업고 있다. 너는 커서 뭐가 될래? 내가 아는 말하는 애벌레한테 물어봐야겠다. 불갑산 지구 빨치산들과 무고하게 희생된 영령들을 생각하..
봄의 전령 변산바람꽃
봄의 전령 변산바람꽃
2022.03.11올해는 늦추위가 있었네. 꽃샘추위가 사나웠다고나 할까? 늦게까지 눈에 덮여 있었지. 하여 헛걸음도 했다네. 비로소 만개했더군, 바람 같은 녀석들인데 때를 아조 잘 맞촸어.. 홀로 있어도, 무더기로 있어도 너는 항시 이쁘다. 퍽이나 이쁘다. 볼수락 이쁘다. 이쁘기 짝이 없다. 오래오래 번성하여라. 길이길이 아름다워라.
날아라 호사비오리
날아라 호사비오리
2022.02.27네 이름은 호사비오리, 너를 처음 만난 건 12년 전이었어. 영산강 지류, 화순 지석강이었다. 다소 아쉬운 만남이었지만 "봤으니 되얐다" 하고 내내 잊고 살았더랬다. 그러기를 10년, 함양과 산청의 경계 지리산 자락 엄천강에서 우리는 다시 만났다. 그리고 얼마 전 세 번째 만남, 그런데 2020년도 녀석은 왜 짝퉁이랑 놀고 있을까? 미안하다 그냥 비오리, 아무리 들여다봐도 너는 그냥 비오리다. 이렇게 암수 서로 정다워야지. 벼는 벼끼리, 피는 피끼리.. 미안하다 그냥 비오리, 호사비오리는 워낙 귀하신 몸이란다. 호사비오리는 잠수성 오리다. 잠수해서 물고기를 잡아먹는.. 암수 서로 정다운 녀석들.. 힘차게 날아라 호사비오리, 오래오래 살아남아라. 호사비오리(천연기념물,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 아무르강, ..
검은이마직박구리
검은이마직박구리
2022.02.18낯선 새소리 들린다 망원경, 사진기 챙겨 들고 소리를 따라간다. 어렵지 않게 발견한 녀석들, 검은이마직박구리다. 지난해 흑산도, 군산, 정읍에 이어 이번엔 장흥. 그런데 한두 마리가 아니다. 참새보다 많다. 일대를 장악하고 떼로 몰려다니며 법석을 떤다. 직박구리도 때까치도 그저 침묵 속에 지켜볼 뿐.. 귀한 참새 한 마리 녀석들 틈에 위장하고 섞여 있다. 눈이 올랑가.. 긍게이.. 온다. 눈이다. 와~ 눈이다~ 눈이 나린다~ 족히 50여 마리는 돼 보이던 녀석들.. 2002년 어청도 첫 관찰 기록 이래 20년, 이러다 텃새 되겄다. 기후 변화의 뚜렷한 증좌 되시겄다. 해 넘어간다.
설날 새 보기 2, 흑두루미
설날 새 보기 2, 흑두루미
2022.02.02노랑부리저어새를 보고 나니 좀이 쑤신다. 하여 좀 더 나가보는디.. 갈곡천 하구와 인근 간척지는 고창에서 새가 가장 많은 곳이다. 여름과 겨울을 나는 철새들 하며 이동 시기 나그네새, 운대가 맞으면 진귀한 녀석들도 볼 수 있다. 오늘은 황새를 볼 요량으로 간다. 논 가운데 시커먼 게 있어 뭔가 했더니 독수리 한 마리, 아직 어린 녀석인 듯 멍청하고 추와 보인다. 창공을 날던 흰꼬리수리, 까마귀에 쫓겨 낭깥 소나무 그늘로 숨어든다. 맹금 체면이고 뭐고 까마귀, 까치 녀석들은 정말 성가시기 짝이 없다. 처음엔 가마우지 떼로 봤다. 그런데.. 오~ 흑두루미, 예서 겨울을 나는 녀석들이 있었군.. 그런데 이 녀석들 내려올 줄을 모르고 창공을 배회한다. 기류를 타고 유유히 날아다니는 모습이 그리 힘들어 보이진 않..
설날 새 보기 1, 노랑부리저어새
설날 새 보기 1, 노랑부리저어새
2022.02.02설날 아침 동박새 한 마리 날아와 놀다 갔다. 그래 마음이 동하여 새 보자 길을 나섰다. 동림 저수지 아래 들판, 노랑부리저어새를 찾는다. 엊그제 집에 오는 길에 논에 내려앉은 기러기 무리 속 녀석들 몇 마리 봤더랬다. 간간이 눈발 날린다. 논바닥을 뒤지며 먹이를 찾는 기러기들, 날마다 그리 뒤져도 먹을 게 있을까 싶다. 기계가 좋아져 갈수록 낙곡도 줄고 소 먹인다고 짚조차 싹싹 긁어가니.. 짖지 마라, 너 보러 온 것 아니다. 역시 있다. 예상한 대로 한창 공사 중인 여수로에 노랑부리저어새들이 모여 있다. 귀한 녀석들, 제법 평화로워 보인다. 잘 먹고, 잘 쉬고, 잘 있다 가거라. 돌아 나오다 다시 만난 녀석들, 수로 바닥을 휘휘 저저가며 먹이활동 중이다. 날 보고 욕 하는 듯, 쟈는 뭐여? 정월 초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