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선 귤암리에서 운치리에 이르는 동갈길은 언제 가봐도 좋다. 무지 좋다.
초여름, 6월에 찜해놓은 강아지를 깊어가는 가을에 가지러 간다. 멀리도 가지러 간다.
동강변 뼝대에 구절초가 흐드러졌다. 그 중에서도 가수리에서 운치리에 이르는 구간에는 포천구절초가 자생하고 있다.
한탄강 유역에 자생하여 포천구절초라 이름하였다 한다. 가는 잎이 특징이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7E98505437100C1D)
이 길은 달리는 그 자체로 뭔가가 이루어진다.
댐 건설을 막아내고 동강을 지켜낸 모든 사람들에게 감사드린다.
동강이여 영원하라!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2ED04B5437103135)
뼝대에 자리잡은 포천구절초
동강 사람들은 강변의 깎아지른 절벽을 뼝대라 한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352B4B5437102D30)
강가의 너럭바위에 피어 있는 포천구절초를 발견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7C0F50543710141F)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7B0F505437101721)
뼝대에 핀 구절초는 강과 함께 잡기 어렵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3FBC4B5437102828)
산그림자와 포천구절초가 어우러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