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장밭의 하얀참새
"어이 흐건 참새 봤는가?"
고부에서 농사짓는 택근이형 전화를 받고 집에 내려간 김에 흰참새를 보러 갔다.
고부, 우리집에서 멀지 않다.
한 5~6천평쯤 되어보이는 넓은 밭에 기장을 갈아놓았다.
기장은 수수, 조 등과 함께 오곡밥에 들어가는 중요한 잡곡 중의 하나이며, 7~8천년 전의 고대로부터 재배된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다.
기장이 익어간다.
장마통에 쓰러져서 그렇지 농사는 잘 되었다.
고부 참새들 다 모이기라도 한 듯 기장밭 이곳 저곳에 수천마리는 되어보이는 참새떼들이 자유롭게 날아다니며 기장을 먹고 있다.
참새가 기장 다 먹는다고 걱정했더니 새 주고도 충분히 남는단다.
그나 참새들 복 터졌다.
기장 타조하고 나면 이 많은 참새들 뭇 묵고 살지, 논으로 달려들지 않을지 걱정스럽다.
비는 내리고 이 수많은 참새떼 속에서 흰참새를 어찌 찾을까 걱정되었다.
그러나 걱정도 잠시 하얀 참새는 쉽게 눈에 띄었다.
밭이 워낙 커서 거리가 멀 뿐 초록 배경에 흰 색이 눈에 잘 띈다.
날이 워낙 좋지 않아 훗날을 기약하고 돌아왔다.
1주일여만에 다시 갔다.
참새떼들은 여전하다. 이번에도 흰참새는 쉽게 눈에 띄었다.
역시 거리가 너무 멀다. 날은 무덥고..
흰색이라 그런가 더 커보인다.
)
백화(알비노)현상, 선천적인 멜라닌 색소 결핍으로 발생한다.
흰까마귀, 흰까치 등 새들 가운데에도 심심치 않게 발견된다.
유난히 흰색을 좋아라 하는 우리 민족은 예로부터 좋은 징조를 몰고 오는 길조로 여겨왔다.
고부땅 기장밭에 나타난 흰참새는 무슨 좋은 징조를 예고하는 것일까?
한가한날 다시 한번 가봐야겠다.
'새, 나비, 풀, 꽃 > 새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꼬까울새, 이 꼬마둥이가 정말 유럽에서 왔을까? (1) | 2014.02.08 |
---|---|
그날 이후 가창오리는 돌아오지 않았다. (0) | 2014.01.30 |
운곡습지 칡때까지 (0) | 2013.07.07 |
뜸북 뜸북 뜸북새 논에서 운다. (5) | 2013.07.04 |
예지몽, 꿈에 본 벌매가 현실로.. (0) | 2013.05.28 |
댓글
이 글 공유하기
다른 글
-
꼬까울새, 이 꼬마둥이가 정말 유럽에서 왔을까?
꼬까울새, 이 꼬마둥이가 정말 유럽에서 왔을까?
2014.02.08 -
그날 이후 가창오리는 돌아오지 않았다.
그날 이후 가창오리는 돌아오지 않았다.
2014.01.30 -
운곡습지 칡때까지
운곡습지 칡때까지
2013.07.07 -
뜸북 뜸북 뜸북새 논에서 운다.
뜸북 뜸북 뜸북새 논에서 운다.
2013.07.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