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산도 산행(마리재-큰재-칠락봉-샘골)
섬은 어찌 보면 해저의 산맥이 물 밖으로 높이 치솟은 것이라 하겠다.
바다 가운데 점점이 떠 있는 자그마한 섬들은 더욱 그러해서 섬 자체가 커다란 산 덩어리로 보이기 일쑤다.
논 한 뙈기 없는 흑산도도 그렇더라.
섬을 한 바퀴 돌며 새들을 보자니 길게 늘어선 산줄기와 바위 연봉들이 자꾸만 눈길을 잡아당긴다.
산이 말을 걸어온다.
니가 안 올라오고 배겨?
하여 오른다.
해가 중천에 떠 있다.
바다 위로 뜨는 해를 보겠다는 간밤의 다짐은 헛된 것이 되고 말았다.
산줄기가 장엄하게 도열하여 시선을 압도한다.
석위가 무리 지어 자라고..
신안비비추인가, 흑산도비비추인가?
육지 것보다 잎사귀가 둥글고 두툼하며 윤기가 반지르하다.
꽃을 보고 싶다는 욕망이 꿈틀댄다.
저 짝에서 출발해 왔다.
눈 아래 비리 마을, 바다 건너 대장도와 소장도..
마을 이름 때문에 혹간 다툼이 일기도 한다네.
이런 숲을 난대림이라 하겠지?
우리 집 동백은 피려는 찰나 내린 된서리에 봉오리 째 말라버렸던데..
진리 방면,
섬 안의 저수지는 모두가 식수원이라고..
눈 앞에 펼쳐진 문암산 능선
저 능선까지 타는 것으로 알았으나 다음 기회에 가는 것으로..
오래된 등산로가 있으나 정비하지 않아 희미하고 거칠 것이라 한다.
오늘 가게 될 칠락봉에 비해 월등히 높다. 거의 배 가량..
다시 흑산에 온다면 저 산을 타기 위해서일 것이다.
바위가 적당히 어우러져 조망이 툭툭 터지는 유순한 산길을 간다.
저기서 왔단 말이지..
문암산이 계속 눈길을 잡아 끈다.
몹시 달고 맛있다는데..
족제비 똥, 흑산의 최상위 포식자로 군림하고 있다 한다.
한 번 보고 두 번 보고 자꾸만 보고 싶네~
아름다운 그 여인도 아닌데..
겨울에 익는다고..
겨울에 딸기를 따다 부모 공양했다는 그 옛날 효자 이야기가 허망한 빈 말은 아니라고..
숲길이 끝나간다.
아쉬운 술잔을 뒤로하고..
우리는 흑산을 떠났던 것이다.
내 인생이 순탄하게만 풀렸다면 어딘가 섬마을에서 선생질을 했을 터인데..
해애애당화 피고 지이는 서어엄마아으으으을에
처얼새 따아라아 차아자아아온 구우우거어 서언새애애앵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