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영역을 누르면 첫 페이지로 이동
농사꾼 조선낫의 세상살이 블로그의 첫 페이지로 이동

농사꾼 조선낫의 세상살이

페이지 맨 위로 올라가기

농사꾼 조선낫의 세상살이

통일농업 실현!

전봉준 평전「봉준이, 온다」

  • 2019.09.21 12:39
  • 책 이야기
728x90

 

한번 크게 패배하여라, 그리하여 영원히 승리하라!

 

위인전과 평전은 어떻게 다를까? 
잘 알 수 없다. 위인전이건 평전이건 중요한 건 작가의 관점이 아닐까 싶다. 

작가는 대상 인물은 물론 그가 살았던 시대까지 꿰뚫을 수 있는 역사적, 구조적 통찰력을 갖춰야 한다. 

그런 면에서 '봉준이, 온다' 작가의 관점은 탁월하고 훌륭하며 치열하다. 

여기에 더해 역사적 상상력(사료에 근거한 과학적 추론)과 담백하면서도 유려한 문장이 주는 문학적 감동은 덤이다. 

이 책을 읽으면 일생을 두고 혁명을 준비한 조직가이자 혁명운동(농민전쟁)을 진두지휘한 사령관인 전봉준 장군을 만날 수 있다. 그의 사상과 실천, 인간적 고뇌, 그리고 장렬한 최후까지..

그가 건설하려던 세상은 어떤 것이었을까? 동학농민군은 무엇을 위해 끓는 피로 산하를 적셨을까? 

우리는 이 책을 통해 동학농민혁명의 전 과정과 당시를 살았던 농민군의 숨결과 마주할 수 있다. 

동학농민혁명을 오늘날 우리 운동의 원류, 자양분이라 생각하는 사람이면 꼭 읽어봐야 할 책이다. 

꼭 읽어보시라. 곁에 두고, 두고 두고 뒤적거리며 참고하시고 오늘을 사는 교훈을 찾으시라. 

두텁지만 잘 읽히는 책이다. 

 

조선 시대를 통틀어 가장 격동적인 순간을 살았던 사람, 민란의 시대라고도 하고, 반역의 시대라고도 하던 그 세기의 한 복판에 장승처럼 서 있었던 사람, 밖으로부터 밀려오는 외세의 힘과 안으로부터 내리누르는 억압의 힘에 보란 듯 맞서기로 했던 사람, 뭇 생령이 시름시름 앓고 산하가 도륙되는 순간을 태울 듯이 응시하던 눈으로 그는 시대를 보았고, 시대를 살았고, 한 세기를 끝장냈으며, 마침내 시대가 되었다. 
- 서문
전봉준과 농민군은 전투에서 패배했다. (그렇다 한들) 패배하고도 승리한 싸움을 보는 우리의 경외감이 사라지지도 않는다. 구조사構造史의 관점에서 동학농민혁명은 결코 패배가 아니기 때문이다. 그래서 우리는 이렇게 말할 수 있다. 

한반도의 20세기는 저 갑오년에 시작되었다고. 한반도의 근대 또한 저 갑오년에 시작되었다고, 그러나 그 세기의 상처가 이렇듯 선연하다면 아직 20세기는 끝난 것이 아니라고. 그렇기 때문에 허리에 두른 족쇄를 걷어낸 한반도의 다음 세기를 열어젖히는 일은 우리 모두의 당연한 의무라고. 항구적 평화와 행복이 유보되어 있는 한 언제나 우리가 전봉준이라고. 
- 종장
백성의 삶이 고단해지고 그 백성들을 위무할 어떤 희망도 보이지 않을 때 백성들은 스스로 들불이 된다.
그러니 전봉준은 수많은 백성으로 환생하여 오늘을 살고 있지 않은가.

전봉준은 여전히 타오르고 있는 들불이요, 현재형이다.
전봉준 없는 조선 역사는 허전하고 쓸쓸하다.
- 종장

 

반응형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 카카오스토리
  • 트위터
  • 페이스북

'책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전향 장기수 임방규 선생님  (0) 2020.01.15
시인 김남주와 전봉준 정신  (0) 2019.10.22
전봉준 평전「봉준이, 온다」  (0) 2019.09.21
늑대가 온다.  (0) 2019.06.28
화산도  (0) 2019.06.04
까마귀의 죽음 그리고 화산도  (0) 2019.01.27

댓글

방문자 정보

이 글 공유하기

  • 구독하기

    구독하기

  • 카카오톡

    카카오톡

  • 라인

    라인

  • 트위터

    트위터

  • Facebook

    Facebook

  • 카카오스토리

    카카오스토리

  • 밴드

    밴드

  • 네이버 블로그

    네이버 블로그

  • Pocket

    Pocket

  • Evernote

    Evernote

다른 글

  • 비전향 장기수 임방규 선생님

    비전향 장기수 임방규 선생님

    2020.01.15
  • 시인 김남주와 전봉준 정신

    시인 김남주와 전봉준 정신

    2019.10.22
  • 늑대가 온다.

    늑대가 온다.

    2019.06.28
  • 화산도

    화산도

    2019.06.04
다른 글 더 둘러보기
지리산 달맞이
이 글은 어떠세요?

지리산 달맞이

  • 최신
    • 1
    • ···
    • 102
    • 103
    • 104
    • 105
    • 106
    • 107
    • 108
    • 109
    • 110
    • ···
    • 1594
  • 다음

정보

농사꾼 조선낫의 세상살이 블로그의 첫 페이지로 이동

농사꾼 조선낫의 세상살이

  • 농사꾼 조선낫의 세상살이의 첫 페이지로 이동

검색

메뉴

  • 농사꾼 조선낫?
  • 세상사
  • 농업, 농민, 농사
  • 일상사
  • 새, 나비, 풀, 꽃
  • 산
  • 책
  • 농민화가 박홍규
  • 안부 남기기

카테고리

  • 농사꾼 세상 (1594) N
    • 세상사 (143)
    • 농업, 농민, 농사 (385)
      • 농사 (35)
    • 먹고 놀고.. (314)
      • 사진이야기 (59)
      • 고창이야기 (2)
      • 먹는이야기 (138)
      • 여행이야기 (12)
    • 새, 나비, 풀, 꽃 (410)
      • 나비 이야기 (81)
      • 풀,꽃이야기 (73)
      • 새 이야기 (252)
    • 산 이야기 (175) N
      • 백두대간 (23)
      • 호남정맥 (10)
      • 영산기맥 (3)
      • 소요지맥 (4)
    • 책 이야기 (21)
    • 동학농민혁명 (13)
    • 탐라이야기 (42)
    • 농민화가 박홍규 (55)

최근 글

  • 삼정산에서 지리를 보다.

    삼정산에서 지리를 보다.

    2021.01.28
  • 시산제

    시산제

    2021.01.19
  • 귀족 라면

    귀족 라면

    2021.01.17
  • 난생처음 청국장

    난생처음 청국장

    2021.01.17

인기 글

  • 이화령~조령 3관문, 백두대간에 비 나린다.

    이화령~조령 3관문, 백두대간에 비 나린다.

    2020.09.15
  • 호남정맥 모래재 ~ 만덕산

    호남정맥 모래재 ~ 만덕산

    2020.11.22
  • 늦가을 금남호남정맥, 신광재 ~ 마이산

    늦가을 금남호남정맥, 신광재 ~ 마이산

    2020.11.01
  • 백두대간 버리미지개~이화령 1(버리미기⋯

    백두대간 버리미지개~이화령 1(버리미기⋯

    2020.09.08

댓글

  • 내주변에 있는 산들, 늘 아래에서만 바⋯
  • 혹시 박홍규 작가님 연락처를 알 수 있⋯
  • 예, 저도 작가님한테 알리고 상의하겠습⋯
  • 창작자의 지적 재산권은 당연히 존중되⋯

공지사항

아카이브

  • 2021/01
  • 2020/12

태그

  • 요리
  • 사진
  • 통합진보당
  • 농민
  • 이슈
  • 박홍규
  • 전농
  • 음식
  • 여행
  • 농민만평

나의 외부 링크

  • 전국농민회총연맹
  • 한국농정신문
  • 농업농민 정책연구소 '녀름'
  • 땅소리세상
  • 버드디비
  • 페이스북
  • 오래오래산방
  • 녹운의 접사사진 블로그

정보

농사꾼 조선낫의 농사꾼 조선낫의 세상살이

농사꾼 조선낫의 세상살이

농사꾼 조선낫

블로그 구독하기

  • 구독하기
  • RSS 피드

방문자

  • 전체 방문자 1,535,500
  • 오늘 87
  • 어제 83

티스토리

  • 티스토리 홈
  • 이 블로그 관리하기
  • 글쓰기
Powered by Tistory / Kakao. © 농사꾼 조선낫. Designed by Fraccino.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