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서 산굴뚝나비는 오직 한 곳, 한라산에서만 볼 수 있다.
함경도, 양강도 등 북부 고산지대에서도 볼 수 있다 하나 지금 우리 형편에서 이 나비를 볼 수 있는 곳은 한라산이 유일한 것이다.
이 나비가 이리 된 데에는 기후 변화의 영향이 크다.
빙하기 이후 기온이 상승하면서 제주가 섬으로 되고 한랭한 지역에 살던 산굴뚝나비는 한라산과 북부 고지대의 산봉우리에 갇히게 됐다.
분단이 이 시대 우리 겨레의 삶을 갈라놓은 것처럼..
하여 더 보고 싶었다, 산굴뚝나비.

 

[꿀벌 기획② 나비가 아무도 모르게 산을 오른다] 한라산 산굴뚝나비, 더위에 삶터 잃어…해발 17

2022년 겨울, 전국적으로 발생한 꿀벌 실종 사건은 ‘미스터리’가 아닌 악재에 악재가 겹친 복...

www.khan.co.kr

날로 가속화되는 기후변화 속에서 한라산 산굴뚝나비의 운명도 더욱 위태로워지고 있다.
영실에서 윗세오름으로 오르려던 계획을 바꿔 백록담으로 간다.

성판악엔 비가 내리고 있었다.
허나 곧 그칠 비, 오늘 날씨 참으로 좋을 것이다.

일기예보 덕이긴 하나 예상이 딱 들어맞았다. 숲은 청량하기 짝이 없다.
좀처럼 땀조차 흐르지 않는다.

진달래밭 대피소를 지나 아고산대에 진입한다. 황폐해져 가는 구상나무 숲 사이로 이따금 가락지나비들이 날아다닌다.
구상나무 숲이 황폐해져 가는 것도 기후변화의 징표라 했다.

구상나무 숲을 지나니 사방이 확 트인다.
눈향나무를 비롯해 나무들이 죄다 땅바닥을 긴다. 지표면을 장악한 조릿대도 더 이상 보이지 않는다.
나비가 많다. 대부분 가락지나비, 드물게 산굴뚝나비, 표범나비..

산굴뚝나비 2022.07.19 한라산

드디어 우리 땅에서 산굴뚝나비를 본다.

한반도에는 북부 고산지대와 제주도 한라산 1,300m 이상의 고지대에 국지적으로 분포한다. 남한지역에서는 천연기념물 제458호 및 멸종위기 야생동물 Ⅰ급으로 지정된 보호 대상 나비이다.
연 1회 발생하며, 5월부터 9월 상순에 걸쳐 나타난다. 제주도 한라산에서는 7월~8월에 볼 수 있으며, 7월 하순에 개체수가 가장 많다. 높은 산지의 초지대나 숲 가장자리에서 천천히 활동하며, 바위나 땅바닥에 잘 앉는다. 꿀풀, 금방망이 등의 꽃에서 흡밀 한다.
먹이식물은 벼과에 속하는 개밀, 김의털, 사초과에 속하는 한라사초이다.
- 한국의 멸종위기종

이제 이 설명이 수정돼야 할 날도 머지않았다. 산굴뚝나비는 이제 1,700미터 이상 백록담 주변에나 가야 만날 수 있게 되었다.

산굴뚝나비 2022.07.19 한라산

다들 바위 위에 앉아 있다.
바위에 앉아 잘 쉰다 했다. 

제주 현무암과 잘 어울린다.

2019.07.21 몽골

몽골에서 만났던 산굴뚝나비와는 색감이 사뭇 다르다.

백록담은 잘 있더라.
한라산은 주로 겨울에만 다닌 터라 여름 백록담은 처음이다.

나비 덕에 존 구경했다.

 

'새, 나비, 풀, 꽃 > 나비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줄꼬마팔랑나비  (0) 2022.08.01
흰줄점팔랑나비  (0) 2022.08.01
제주꼬마팔랑나비  (0) 2022.07.24
남방남색부전나비  (0) 2022.07.24
홍줄나비  (0) 2022.07.24